React 15

[React] useState 조건부 렌더링

조건부 렌더링 사용하기를 간단하게 해 보았당 :) 구현해야 하는 것 const Review = () => { const [open, setOpen] = useState(false); const reviewOpen = () => { setOpen(!open); }; useState 를 이용해서 false 일때는 text가 안보이게, true때 보이게 설정하였다. 배송도 빠르고 정말 좋아요. {!open ? ( "" ) : ( 주문한지 하루만에 배송이 도착해서 너무 좋았습니다. 다음에도 필요하면 또 여기서 시킬 것 같아요. )} 더보기 ▼ 삼항 연산자를 이용하였다. !open ? 일때 ture 이면 " " ( 빈 문자열)을 반환, false 이면 ( 주문한지 하루만에 배송이 도착해서 너무 좋았습니다. 다음에..

React) useEffect

앞에 Side Effect글과 이어서 useEffect에 대해정리해보겠다. https://hayley-0616.tistory.com/17 이제 useEffect 차례다.. 학습목표는 이것이었다.. - React 에서 Side Effect의 올바른 발생 시점 알기 - useEffect의 사용법 알기 - 조건부로 Side Effect 발생시키기 - Rendering & Effect Cycle 알기 - Clean Up Effect 알기 과연 나는 다 알았을 것인가.. 🙈😑🙈 React 에서 Side Effect의 올바른 발생 시점은 - 렌더링을 Blocking 하지 않기 위해서 렌더링이 모두 다 완료되고 난 후 실행할 수 있어야 한다. - 매 렌더링마다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내가 원할 때만 조건부로 실행할 수..

카테고리 없음 2023.02.02

React) 상수데이터

과제를 하기전에.. 아직 배우지 않은 상수데이터에 대해 나오길래 한번 정리를 해보았다. 전에 댓글 구현할때 애먹었던..Javascript의 map을 여기서도 또 쓰게되었는데.. 제발 이쯤되면 익숙해지자..나자신.. 😂 상수데이터란? UI 구성에는 필요하지만 동적으로 변하지 않아서 백엔드로부터 API 등을 통해서 데이터를 가져올 필요가 없는 변하지 않는 정적 데이터를 말한다. 그래서 상수데이터로 UI를 만들때는 백엔드에 요청하지 않고 컴포넌트에서 만들 수 있다. 왜 어떻게 상수데이터를 쓸까? : UI를 보다 효율적으로 확장성 있게 구성할 수 있으며, 특히 반복되는 UI구조는 상수데이터와 map 메서드를 이용하여 간결하게 표현이 가능하고, 그래서 유지보수가 용이하기 때문에 이용한다고 한다. 이러한 상수데이터..

카테고리 없음 2023.01.29

React) Instagram 간단하게 한 클론코딩 (댓글추가 구현)

인스타 그램 클론코딩 중 내가 아주 애먹었던 😂 댓글구현 과정.. 드디어.. 이해가좀 되어 이렇게 정리하면서 업로드 해본다 👀👊 내가 한 방법은 1. 댓글을에 입력하면 comment 라는 state(초기값=[])에 받아와서 commentList라는 state에 추가하고, 2. 그 배열 형태롤 추가한 commentList에 map함수를 돌려서 배열안에 있는 데이터를 하나씩 가져온 후 3. 배열에서 가지고온 데이터를 라는 컴포넌트에 props로 넘겨주었고, 4. 댓글이 꾸려지도록 가져온 {props.data.commentItem} 로 구현해 보았다. 말로 풀어봤지만.. 뭐라는거지..? 라도 할 수 있으니 코드도 한번 넣어보았다...ㅠ //Main.js function MainFeed() { const [co..

카테고리 없음 2023.01.28

React) Use State (예제 2개 포함)

State? : 컴포넌트가 가질 수 있는 상태 useState? : 우리 컴포넌트의 상태를 간편하게 생성하고, 업데이트 시킬 수 있게 해 주는 도구를 제공해 준다. const [state, setState] = useState(초기값); // state 생성과 함께 가져야할 초기값을 useSate 함수의 인자로 넣어주면 //state와 setState라는 두가지 요소를 배열 형태로 return 해 준다. - state(변수) : 현재 상태 값 - setState(함수) : state를 변경시켜주고 싶을 때 더보기 예시) const [time, setTime] = useState(5); // 컴포넌트 안에는 time 이라는 state 가 생성되고, 초기값은 5시 를 갖게됨 // 이때, 시간을 변경하고 싶으..

카테고리 없음 2023.01.2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