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코드 13

React) useEffect

앞에 Side Effect글과 이어서 useEffect에 대해정리해보겠다. https://hayley-0616.tistory.com/17 이제 useEffect 차례다.. 학습목표는 이것이었다.. - React 에서 Side Effect의 올바른 발생 시점 알기 - useEffect의 사용법 알기 - 조건부로 Side Effect 발생시키기 - Rendering & Effect Cycle 알기 - Clean Up Effect 알기 과연 나는 다 알았을 것인가.. 🙈😑🙈 React 에서 Side Effect의 올바른 발생 시점은 - 렌더링을 Blocking 하지 않기 위해서 렌더링이 모두 다 완료되고 난 후 실행할 수 있어야 한다. - 매 렌더링마다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내가 원할 때만 조건부로 실행할 수..

카테고리 없음 2023.02.02

React) Props

점점 많은것을 배우게 되면서.. 기초의 중요성을 아주 뼈저리게 느끼는중이라.. React에서 중요한 props에대해 한번 배운것 복습하면서 정리해보려고한다.. Props란 -컴포넌트의 속성값을 의미하며, 즉 부모컴포넌트로 전달받은 데이터를 지니고 있는 객체{ }를 의미한다. -Props를 이용하면, 부모 컴포넌트에서 자식컴포넌트로 전달하고자 하는 어떤값이든 (문자, 숫자, 변수, 함수 등) 모두 전달이 가능하다. 예시를 들어보겠다 //Parent.js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Child from "./Child"; const Parent = () => { const animal = "호랑이"; //호랑이라는 문자열을 변수에 담아서 관리하고있으며, //해당 변수를 이용해..

카테고리 없음 2023.01.30

React) Hook -useState

useState를 배우고 쓰고있지만.. 아직까지 너무 혼란..(?) 스러워 이렇게 정리를 해본다..😂😂👊 Hook이란? : 클래스 컴포넌트에서만 사용할 수 있었던 상태관리와 라이프사이클 관리 기능을 함수 컴포넌트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연동해 주는 함수이다. Hook을 사용할때 규칙 2가지 1. Hook은 함수 컴포넌트 혹은 custom hook안에서만 호출할 수 있고, 2. 함수 컴포넌트 내의 최상위에서만 호출해야한다 React 에서 State란? - 컴포넌트 내부에서 가지고 있는 컴포넌트의 상태값으로 UI에 보여줄 정보를 결정할 때 사용할 수 있다. - 컴포넌트 내부에 있어서 내에서 정의및 사용을 하고 얼마든지 변경할 수 있다. 어떻게 사용할까? //Main.js import React from 'r..

카테고리 없음 2023.01.27
728x90